오늘은 우리 한국사람이라면 매일 먹는 고추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특히, 고추 효능 및 고루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추는 어떤 야채인가? 고추는 매운맛을 내는 캅사이신이라는 화학물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캅사이신은 고추의 종류와 성장 환경에 따라 그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고추의 매운맛은 다양합니다. 좀 덜 매운 것에서부터 정말 많이 매운 고추가 있습니다. 고추의 매운 맛은 신경을 자극하며 혈압 상승, 체온 상승, 심박 수 증가 등의 생리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고추에는 비타민 C, 비타민 A, 칼슘, 철분 등의 영양소도 많이 들어 있습니다. 고추 효능 고추 효능 면역력 강화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줍니다. 이러한 효능은 우리 몸의 체..
오늘은 시금치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금치는 철분, 비타민, 식이섬유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우리가 먹는 반찬에 자주 등장하고 김밥이나 샐러드를 만들 때도 많이 이용하는 채소가 시금치입니다. 지금부터 이런 시금치가 왜 좋은지 시금치 효능을 알아보고, 시금치 부작용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시금치 효능 시금치 효능 암예방 시금치에는 베타카로틴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이 베타카로틴은 활성산소가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아주고 항암효과를 내주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입니다. 베타카로틴은 녹황색 채소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녹황색 채소인 시금치를 꾸준히 먹으면 암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시금치에 들어 있는 엽산과 폴라보노이드 성분도 항암효과에 좋다고 합니다. 시금치 효능 노화 예방 ..
오늘은 중국요리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청경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청경채 효능 및 청경채 부작용, 청경채 고르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청경채는 어떤 채소인가? 청경채는 잎이 세로로 약간 긴 부채꼴 모양이 특징인 채소로 중국 요리에 흔히 사용됩니다. 청경채는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식재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봄과 가을이 제철이지만 요즘에는 재배 기술의 발전으로 4계절 내내 수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녹색을 복초이라고 하고 흰색축을 박초라고 합니다. 청경채는 전체 중량의 95% 정도가 수분이며 100g당 9kcal로 매우 저칼로리 채소입니다. 영양성분으로는 칼슘이 시금치의 약 2배가 되고 베타카로틴이 브로콜리의 약 2.5배나 들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은 정말 고소하고 맛있는 잣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잣 효능 및 잣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잣은 어떤 견과류인가? 잣은 소나무과의 잣나무 열매로 8월 중순에서 1월 말이 제철입니다. 잣은 예로부터 불로장생 식품으로 영양이 풍부한 견과류로 알려져 왔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해송자라고 하여 어지럼증과 변비를 치료할 때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오장과 심장, 간, 신장 등을 건강하게 해 준다고 하였습니다. 잣은 성질이 따뜻하여 오장육부를 튼튼하게 하고, 눈과 귀의 기능을 강화해 준다고 합니다. 잣에는 지방이 64%나 되고 철분이 풍부해 혈액을 보충해 줍니다. 또한 자양강장에 효과가 좋으며, 손발이 저린 증상, 어지럼증이 있는 분들, 또는 기력이 없는 분들께 잣이 좋다고 합니다...
오늘은 고소하고 맛있는 씨앗류 해바라기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바라기씨가 어떻게 좋은지, 또는 부작용은 어떤지를 알아보는 해바라기씨 효능 및 해바라기씨 부작용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해바라기씨는 어떤 씨앗인가? 해바라기씨는 고대부터 아메리카 원주민이 즐겨 먹었다고 합니다. 약 400년 전 탐험가들에 의해 유럽에 소개된 해바라기는 원래 관상용으로 재배되다가 러시아에 와서 식용 식물로 널리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해바라기를 주로 관상용으로 심습니다. 하지만, 유럽과 인도, 페루, 중국 북부에서는 씨앗이 크고 지질 함량이 많은 재배종을 주로 심는다고 합니다. 해바라기씨에는 비타민E가 100g당 22mg이 함유되어 있어 견과류 중에서도 우수합니다. 칼륨, 칼슘, 비타민 등도 들어 있어 혈압을..
오늘은 육수를 낼 때 꼭 함께 넣어 감칠맛을 더해주는 다시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다시마 효능 및 다시마 부작용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다시마는 어떤 해조류인가? 다시마는 한국과 일본 등 널리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섭취하는 해조류 중 하나입니다. 다시마는 건조나 염장 등으로 보존하여 사용하며, 감칠맛이 풍부하여 국물을 우려내고, 튀각, 쌈, 국수 등 다양하게 활용합니다.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에 비해 최소 10배 이상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주변 해양 환경에서 미네랄을 충분히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다시마는 100g당, 칼로리는 19kcal , 단백질 1.68g , 지방 0.56g, 탄수화물 9.57g, 엽산 180 µg, 마그네슘 121mg, 철 2...
미나리는 매운맛이 나면서 향긋한 향이 나는 채소입니다. 오늘은 미나리 효능 및 미나리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나리는 어떤 채소인가? 미나리는 파슬리과의 식물입니다.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고, 잎을 요리에 많이 사용하며, 뿌리와 줄기도 먹을 수 있습니다. 미나리는 축축한땅 보통 물이 맑고 미지근한 곳에서 자랍니다 미나리는 한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와 같은 아시아 대륙 전체에 걸쳐 자라고 있습니다. 미나리는 영양소가 풍부하며,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K, 식이 섬유,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미나리 효능 미나리 효능 소화 건강 개선 미나리는 식이 섬유와 수용성 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소화 건강에 좋습니다. 식이 섬유는 소화 과정에서 변비를 완화하고 대변의 통..
당귀는 부인과 질환과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재이므로 한의학에서 사랑받는 약재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당귀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귀란? 당귀는 우리나라 전역 야산에 분포하고 있으며, 참당귀를 주로 식품이나 한약재로 사용합니다, 당귀의 뿌리는 한약재로 사용하고 잎은 쌈이나 겉절이로 먹습니다. 또한 당귀를 말려서 당귀차 등으로 섭취를 하고 있습니다 당귀는 여성들의 각종 부인 병 질환에 효과가 좋으며, 여성들의 약초, 여자들의 인삼으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특히 당귀는 닭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 식품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닭고기와 함께 섭취하면 혈액생성을 도와 빈혈에 매우 좋은 효증을 줍니다. 당귀 뿌리와 잎에는 특유의 한약재 냄새가 많이 나는데, 요즘에는 건강을 위해 쌈 채소로 많이 이..